전체 글64 일론 머스크의 챗봇 '그록', 텔레그램 10억 이용자와 만날까요?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와 메신저 텔레그램이 AI 챗봇 '그록' 탑재를 위한 협력 논의 중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메신저를 통해 소통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메신저 서비스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서비스가 되었죠.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이 결합된다면 어떤 새로운 경험이 가능할까요? 최근 10억 명이 넘는 글로벌 이용자를 보유한 인기 메신저 '텔레그램'과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 사이에 흥미로운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xAI에서 개발한 AI 챗봇 '그록(Grok)'을 텔레그램 서비스에 탑재하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텔레그램 CEO의 발표와 머스크의 신중한 반응이번 협력 가능성 .. 2025. 6. 5. 예상 초월 호실적에도 발목 잡는 '중국 수출 규제'…젠슨 황 CEO의 고민 엔비디아가 1분기 예상치 초과 호실적을 냈습니다. 데이터센터 매출이 견인하며 작년 대비 매출 69% 급증했지만, 대중국 수출 규제로 2분기 성장 전망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대중국 수출 규제가 발목 잡는 2분기 성장 전망하지만 이렇게 눈부신 실적을 발표한 날에도 엔비디아의 고민은 깊어졌습니다. 바로 미국 정부의 **대중국 수출 규제** 때문이었습니다. 엔비디아가 제시한 올해 2분기(5월~7월) 매출 전망(가이던스)은 450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459억 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전망치 하향의 가장 큰 이유로 중국에 대한 AI 칩 수출 제한을 꼽았습니다. 만약 중국 전용 저사양 칩인 H20의 수출 제한이 없었다면, 이번 분기에 25억 달러, 그리고 다음 분기에는 무.. 2025. 6. 5. 대한항공, AI와 손잡고 항공기 정비 혁신 가속합니다! 대한항공이 AI 솔루션 기업 데이터메이커와 손잡고 항공 MRO 분야 AI 솔루션 개발에 나섭니다. 자체 MRO 경쟁력을 갖춘 대한항공은 AI 기술을 접목해 정비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스마트 MRO' 혁신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MRO' 혁신대한항공이 이러한 기존의 '스마트 MRO' 기술력에 한 단계 더 나아가 인공지능(AI) 기술을 본격적으로 접목하여 정비 효율성과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시도에 나섰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5월 28일, 대전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에서 AI 솔루션 전문 기업인 '데이터메이커'와 손을 잡고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항공 MRO 분야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협력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습니다. .. 2025. 6. 4. '성수기' 5월에도 아파트 분양 시장은 썰렁…전국 15곳 중 4곳만 완판 성수기인 5월, 아파트 분양 시장이 부진했습니다. 전국 15개 민영 주택 중 4곳만 완판됐고, 지방 및 수도권 외곽에서 미분양이 쌓이며 7만 가구에 육박한 미분양 우려가 커졌습니다. '성수기' 5월의 아쉬운 분양 성적5월의 분양 시장 성적은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더욱 체감할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28일에 청약 마감한 경기 평택 브레인시티의 한 아파트 단지는 1396가구를 모집했는데, 단 96명만 청약을 신청했습니다. 경쟁률이 0.07대 1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모집 가구 수의 10%도 채우지 못한 처참한 성적이었습니다. 앞서 부산 강서구의 에코델타시티에서 분양한 한 아파트 단지 역시 674가구를 모집했는데,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329가구만 청약을 마쳤습니다. 대구 동구에서 대형 건설사가 분양한.. 2025. 6. 4. '오일 머니' 품은 중동, 한국 수출의 새로운 희망 높은 인구 증가율과 국부 펀드 투자로 성장 잠재력이 큰 중동이 우리나라의 잠재력 높은 신흥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 경제의 중요한 축인 '수출'이 최근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 대미 수출 감소가 현실화되면서 새로운 수출 시장을 찾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일 머니'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중동 지역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동,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는 몇 안 되는 시장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우리나라의 대(對)중동 수출액은 65억 1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작년 같은 기간보다 3% 증가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 세계 7개 대륙권(아.. 2025. 6. 3. 소득은 늘었지만 실질 소비는 줄었습니다…소득 양극화 심화 우려 올해 1분기 가계 소득은 늘었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 지출은 7분기 만에 감소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의 살림살이는 어떨까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가계 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들이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고, 또 소득 격차는 어떤지를 알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29일 발표된 올해 1분기(1월~3월) 가계 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겉으로 드러나는 숫자와 속사정이 다른 부분이 있었습니다. 소득은 늘었지만, 물가 고려한 실질 소비는 감소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5만 1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습니다. 소득이 명목상으로는 늘어난 것처럼 보였습니다.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외한 '실질 소득' 역시 2.3% 증가한 것으로.. 2025. 6. 3.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